본문 바로가기

# Fun Interest/book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가

 

 

  • 인문,역사,정치 5만원 이상 구매시 양생카드, 한울통 창간준비호 증정 (선착순 한정수량)
  •  
    민주시민을 위한 주권 사용법을 제시하다!

     

    우리 시대의 ‘대체 불가능한’ 저널리스트 김종배의 전방위 뉴스 비판·사용 설명서『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가』.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10년 넘게 ‘뉴스 브리핑’을 진행했으며, 팟캐스트 <이슈 털어주는 남자> 등을 통해 정치와 사회문제를 날카로운 시각으로 분석한 김종배가 ‘내편, 네편’을 가르는 언론, 사실과 사실의 관계가 비틀리고 꼬인 뉴스들이 홍수처럼 넘쳐나는 시대에 우리가 과연 어떤 진실을 봐야 하는지에 주목하였다. 쓰레기 만두소 파동, 학생 체벌 공방, 비정규직법 등 다양한 사건들에 대한 언론의 보도사례를 들고 어떤 방법으로 오류와 의도된 거짓말을 가려낼 수 있을지 설명하고, 뉴스와 사건간의 ‘부적절한 관계’가 무엇인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정치적 구도를 창출하거 소멸시키려는 언론의 숨은 의도를 파헤친다.또한 뉴스 속의 논리적 오류와 숨은 의도를 찾아내는 법에서 더 나아가 민주시민으로 살아가면서 제대로 소통하기 위한 글쓰기 노하우를 제시한다.

     

    저자 김종배는 시사평론가.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미디어오늘>에서 3년간 편집국장을 지냈고, 1999년부터 11년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 등에서 ‘뉴스 브리핑’ 코너를 진행하다 ‘외압에 의해’ 2011년 5월 하차했다. 언론에서 일반적으로 다루는 기사 주제와 달리 ‘뉴스 브리핑’ 코너를 통해 그가 매일 아침 솎아낸 뉴스는 남다른 관점, 날카로운 해석으로 출근길에 있는 청취자들을 웃고 울게 만들었고, 무엇보다도 세상을 읽어나가는 시각을 확장해나갈 수 있게 해주었다. 이를 통해 그는 정치판에 주눅 들지 않으면서도 대중에게 인정받는, 시사평론가로서 오르기 힘든 고지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았다. <오마이뉴스>에 ‘김종배의 뉴스가이드’, <프레시안>에 ‘김종배의 it’을 연재했으며, 정치·사회·미디어 등의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평론하는 1인 미디어 블로그 ‘미디어토씨’를 운영했다. 2010년부터는 <프레시안>에서 ‘직장인을 위한 소통의 글쓰기 강좌’, ‘대학생을 위한 논술 특강’ 등 논리적 사고와 논리적 글쓰기를 위한 강좌를 열어 2년여 만에 5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그는 2012년 1월부터 데일리 팟캐스트 <이슈 털어주는 남자>(이하 이털남)를 진행하고 있다. <이털남>은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과 1인 미디어 블로그 등을 통해 쌓아온 그의 내공이 집약된 방송으로, 하루 한 가지 이슈를 선정해 밑바닥이 보일 때까지 ‘뽕을 빼는’ 형식은 팟캐스트 구독자들에게 열렬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언론에서 충분히 다루지 않았거나 편파·왜곡 보도된 사안에 대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게스트로 초대, A부터 Z까지 묻고 캐내는 정통 시사토크 형식을 택함으로써 ‘스타 저널리스트’로서의 능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특히 <이털남>은 민간인 사찰 기록 은폐의 전모를 파헤치고 사건에 직접 연루되었던 인물들과의 독점 인터뷰 등을 내보내면서 아이튠즈 뉴스·정치 부문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가?』는 그가 지금까지 좌우의 편파적 논리에 휩쓸리지 않고 사실의 본질을 꿰뚫어보며 쌓아올린 성과일 뿐 아니라 저널리스트로서의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시각이 고스란히 녹아든 첫 번째 결과물이다

     

    여는 글 | 민주시민으로 살기 위한 올바른 주권 사용법

    1부 뉴스 제대로 읽기

    뉴스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뉴스는 생선이다 | 뉴스는 관계다 | 부적절한 관계와 합리적 의심 | 의심의 합리성
    언어의 감옥에 갇힌 언론
    언론이 갖다 붙인 이름 | 모래성 속의 기둥 | 판단 착오의 원인 | ‘노 터치’와 ‘체벌’의 행간
    원인 분석의 오류와 억울한 희생양
    결과 안에 숨어 있는 원인 | 이빨 빠진 원인 찾기 | 부적절한 관계의 피해자
    조건은 언제든지 변할 수 있다
    최소한의 조건 | 사실과 조건의 부조화 | 조건에 대한 의심과 판단
    적벽의 변수와 어긋난 예측
    복잡다단한 조건 | 무리한 예측과 전망 | 헤아리지 못한 변수, 어긋난 상수 | 작용과 반작용의 변수
    계획된 죽창 vs 우연한 죽창
    근거가 곧 증거다 | 미약한 증거와 성급한 일반화 | 절대수치가 말하지 않는 것 | 객관성, 대표성, 신뢰성
    희망버스를 보는 두 가지 잣대
    판단 기준이 되는 전제 | 임의의 전제도 참이어야 한다 | 있는 대로 보기, 보고 싶은 대로 보기 | 정파적 논리와 차단의 벽
    [ 정리 ]

    2부 뉴스를 둘러싼 것들

    사건 지도에서 뉴스 좌표 찾기
    뉴스 속 퍼즐 조각 맞추기 | 민간인 불법사찰의 구도 | 성격, 역학관계, 여론 | 평범한 은행원과 빨갱이 사이 | 정당한 고발인가 정파성인가
    피플오션에서 벌어지는 치열한 공방전
    시대와 민심의 긴밀한 관계 | 사각 링 위의 공방전 | 민심 들끓게 만든 ‘나홀로 특채’ | 강렬하지 못한 이슈 | 너는 얼마나 깨끗한데?
    선수로 뛰어드는 언론
    언론과 특정 세력의 긴밀한 관계 | 세력 대결에 개입하는 언론 | 판세를 바꾸려는 꼼수
    부처님 손바닥과 같은 민심
    ‘내 문제’와 ‘그들의 문제’ | 민심을 우습게 본 결과 | 여론을 읽으면 앞날이 보인다
    [ 정리 ]

    3부 글쓰기의 최전선

    논리적인 글쓰기의 기본 원리
    읽기와 쓰기의 원리는 같다 | 관점은 곧 주제다 | 어디에 방점을 찍을 것인가? | 논리적 관계의 흐름 | 엄밀한 표현이라는 덕목
    송곳과 과녁 먼저 만들기
    진부한 글, 내달리는 글 | 무엇을 논증할 것인가? | 관점을 먼저 설정하라
    곧게 뻗은 대나무처럼 쓰기
    왜 논리적인 글을 쓰는가? | 논증의 과정 파악하기 | 자가당착과 논점 일탈
    팽팽하게 펼쳐진 우산의 살
    탄탄한 기둥 세우기 | 전제를 참으로 만드는 근거 | 복합적인 분석의 함정 | 전제는 근거에 의지한다
    마디에서 마디로 가는 과정
    글에도 마디가 있다 | 전제들 간의 교통정리 | 물고 물리는 전제와 주장
    논리적 표현은 기교가 아니다
    개념 구사의 엄밀성 | 개념과 개념의 관계 | 문장과 문장 간의 관계 | 표현은 기교가 아니다
    [ 정리 ]

    닫는 글 | 더 큰 세상에서 자유롭게 소통하기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