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un Architecture/fun competition

2013 흙건축디자인공모전

2013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 | 도시와 흙

2013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에서는 흙과 함께 사는 도시를 꿈꾸고자 한다. 삶의 공간인 도시 안에서 흙이 주는 재료적 가치를 이해하며, 삭막한 도시에 흙의 온유함을, 획일화된 도시에 흙의 다양성을, 혼돈된 도시에 흙의 보편성을 담으므로 상처받은 도시인에게 치유의 공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도시안에서 흙이 단순히 가로수를 키우는 역할이 아닌 도시의 변화를 주는 역할로써 자유로운 상상을 기대한다. 이는 단지 도시와 흙만의 문제에 머물지 않고, 도시와 사람, 사람과 흙이 어떤 관계 속에서 삶을 지속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사고를 함께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의 삶의 시간과 끝이 되어 주는 흙을 건축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재료, 새로운 공법 또는 새로운 공간, 새로운 형태의 흙의 변화, 도시의 변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 참가요강

▶ 공모전 취지
흙은 생명의 근원이며 오랜 세월 인간을 보듬어 준 어머니라 할 수 있다.
흙을 통해 사람은 먹고 자라고 땀 흘리고 잠들었으며, 나아가 인류 문화의 바탕이 되어 온 것이다. 특히 농경문화에 깊은 뿌리를 가진 우리의 정서 속에서 흙은 삶의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서 흙을 이용한 전통적인 건축방식은 버려지고 대체되었으며 오늘날에는 활용 가치를 잃어버린 과거의 재료로 인식되어 진화와 발전의 기회를 상실하고 잊혀져 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흙은 더 이상 과거의 재료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흙의 가치와 가능성이 재조명되고 있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흙건축의 현대적 적용과 진화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는, 이 땅의 가장 근원적 재료인 흙이 과거의 봉인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현대적 감성과 미래적 가치들을 부여하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자 한다. 흙건축의 가치를 복원하기 위한 우리의 다양한 노력들이 퇴적되고 다져져서 흙이 다시 건축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로 우리 앞에 서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은 이런 과정을 만들어 가는 중요한 출발점으로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흙건축의 가치를 복원하고 현대적, 미래적 발전을 도모하며 한 단계 높은 성장을 위해서 흙은 단순한 마감 재료나 구조재로서의 고찰과 연구만이 아닌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디자인도구로서의 이용과 시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경향하우징페어와 한국흙건축연구회가 함께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제정하여 전통적인 재료의 현대적 탄생을 기다리는 기회로 삼고, 많은 실험적인 디자인 가능성을 펼치고자 한다.

▶ 2013 - 도시와 흙

국제통화기금(IMF)의 계간지에 따르면 2008년 세계인구의 절반이 도시에서 사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 중에서 삼분의 일의 인구가 빈민굴과 같은 척박한 환경 속에서 생활을 한다. 우리는 어떠한가? 한반도 전체인구의 삼분의 일이 5대도시에서 생활한다. 2011년 통계에 의하면 서울인구의 12.8%, 약 150만 명이 빈민층으로 분류되었다. 그런 가운데에 도시는 더할 나위 없이 상업화의 길을 치닫고 있고 우후죽순처럼 솟은 마천루의 밀림 사이로 우리는 종종걸음을 치며 삶의 현장으로 달려가고 있다. 언제쯤 우린 멈출 수 있을까? 어디쯤에서 우린 만날 수 있을까?
공룡과 같은 ‘익명의 섬’을 탈출하여 ‘흙과 더불어 살리라’를 외치며 도시를 떠나는 사람들은 이미 선택한, 그리고 선택 받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선택할 수 있으나 오히려 우리 주위의 많은 사람들은 선택의 여지없이 ‘쎄맨공구리’로 둘러 쌓여있는 환경에서 사는 대다수의 도시민들이 아닐까?

2013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에서는 흙과 함께 사는 도시를 꿈꾸고자 한다. 삶의 공간인 도시 안에서 흙이 주는 재료적 가치를 이해하며, 삭막한 도시에 흙의 온유함을, 획일화 된 도시에 흙의 다양성을, 혼돈된 도시에 흙의 보편성을 담으므로 상처받은 도시인에게 치유의 공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도시 안에서 흙이 단순히 가로수를 키우는 역할이 아닌 도시의 변화를 주는 역할로써 자유로운 상상을 기대한다. 이는 단지 도시와 흙만의 문제에 머물지 않고, 도시와 사람, 사람과 흙이 어떤 관계 속에서 삶을 지속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사고를 함께 요구 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의 삶의 시작과 끝이 되어 주는 흙을 건축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재료, 새로운 공법 또는 새로운 공간, 새로운 형태의 흙의 변화, 도시의 변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 대지 및 프로그램
? 제시된 주제 “도시와 흙”의 건축적 표현을 설명하기 위한 모든 방식은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대지의 위치는 중,소도시 이상으로 선정하되 규모는 자유롭게 하며, 프로그램은 주제를 건축적으로 해결하는 구체적인 구성 요건들(하드웨어)과 이들의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적 구상들까지도 폭넓은 선택이 가능하다.

▶ 참가자격
?자격 제한 없고 1인 1작에 한함

▶ 참가신청 및 참가비
?참가신청 마감 : 2012년 12월 17일(월) ~ 2013년 1월 18일(금) 오후 18:00 이전 (온라인 등록)
?참가 신청서 다운로드: http://cafe.naver.com/eartharchitecture
?참가 신청서 접수(이메일로 접수) : terrakorea21@gmail.com
?접수비 5만원 [계좌입금 신한은행 100-025-394974 (사)한국흙건축연구회
?확인된 접수자에 한하여 접수증을 이메일로 개별배송 예정- 접수증은 출력하여 패널 제출 시 패널 뒷면 부착
* 참가신청은 참가신청서 및 참가비 결제 확인 시 완료되며, 입금된 참가비는 절대 반환 불가
* 접수 후 접수자 명의 양도할 수 없음
※ 참가자 입금 시 본인명의로 입금 요망

▶ 응모일정
?참가 신청 접수: 2012년 12월 17일(월) ~ 2013년 1월 18일(금) 오후 18:00
?작품 접수: 2013년 2월 13일(수) 14일(목) 이틀간 오전 10시~오후18:00까지 제출처 도착분에 한함
(제출물 우송 확실성을 위해 우편 택배만 접수가능) ※ 직접 제출 불가
?작품 제출처 : 추후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 예정 (2013년 1월 18일)
?작품 심사: 2013년 2월 15일(금)
?최종 발표: 2013년 2월 18일(월) (사)한국흙건축연구회 홈페이지 게시 (www.earth.or.kr)
?수상작 전시회: 2013년 2월 20일~24일 경향하우징페어 일산 킨텍스 전시장
?시상식 및 작품발표회: 전시회 기간 중 (일정 추후 공지)
* 위 일정은 주최 측의 사정과 전시 일정에 따라 약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변경 시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공지합니다.


▶ 시상내역
?대상 1명 : 상금 5,000,000 원
?우수상 1명 : 상금 2,000,000원
?특선 1명 : 상금 1,000,000원
?입선 다수: 상장과 기념품 수여

▶ 작품 제출 규격
1. A1 (594mm X 841mm) 규격 패널 1장
두께 0.5mm 이하 1매에 가로, 세로 무관, 뒷면사용 불가
그림, 사진, 스케치, 텍스트 등을 자유롭게 구성
2. A3 (297mm X 421mm) 규격 패널 축소본 1장
패널과 동일한 내용의 A3 축소본
※ 접수증을 출력하여 패널 뒷면에 부착
※ A1, A3 공히 우드락, 폼보드, 하드보드지 등에 부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출물 내용 중 출품자의 소속을 표기하거나, 상징적으로 소속을 알 수 있는 텍스트나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아야 합니다.
* 제목 및 패널 내용은 한글 및 영문, 한자, 아라비아숫자, 미터법을 사용합니다.
* 출품규격과 규정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작품은 심사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기타 사항

우편 접수시 발생하는 작품 훼손 및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으므로 출품자의 주의를 바랍니다.
우편 배송의 지연으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유의하십시오.

타 공모전에 중복 출품되었거나 타인의 작품과 유사한 출품작은 심사대상에서 제외되며, 수상 이후라도 결과를 취소합니다.
공모전에 접수된 모든 작품은 반환하지 않습니다.
수상작의 작품에 대한 복제권, 임의 변경권, 광고 및 홍보사용권 등 행사, 판매, 유통, 홍보활동에 소요되는 모든 활동의 권리는 주최측에 귀속됩니다.

* 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공모전의 최종심사가 끝날 때까지 익명으로 심사
*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 및 개인 신상에 대한 정보는 본 공모전과 홍보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유출하지 않습니다.







▶ 심사위원

건축가 김 용 미
(주) 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 / 프랑스 건축사

▶ 접수 및 문의
사단법인 한국흙건축연구회 카페 참조
( URL : http://cafe.naver.com/eartharchitecture 공모전 게시판)
이메일 : terrakorea21@gmail.com
연락처: 070-8638-2466 / (사)한국흙건축연구회

▶ 주최
사단법인 한국흙건축연구회, 2013 경향하우징페어

▶ 후원
국립문화재연구소, 굿네이버스, (주) 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 협찬
건축사사무소 건축공방 無, (주)기용건축, 흙건축연구소 살림, (주)씨스페이스,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온고당, (주)코렘시스, (주)클레이맥스JN, 휘경 건축사사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