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 건축은 없다 :: 한국건축의 새로운 타이폴로지 찾기
이 책의 저자는 “대한민국에 건축이 없기 때문”이라는 한 마디로 답한다. 세계 무대를 상대로 마천루 건설 경쟁에 뛰어들고, 지자체들이 하나같이 랜드마크를 외치는데,『대한민국에 건축은 없다』라니…. 한국건축계에 대담한 화두를 던진 저자는 이것이 결코 논쟁적 수사가 아니라며, 역사와 철학을 통해 한국건축의 오염된 뿌리와 조각난 잎을 면밀히 분석해낸다. 먼저 「건축이란 무엇인가?」에서 인류 문명사에서 건축은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지 그 정체성을 확인한 후, 「한국에 건축은 없다」에서 건설만 존재할 뿐 건축이 부재(不在)한 한국사회의 현실을 날카롭게 파헤친다. 그리고 마지막 장인「한국에 건축은 있다」에 이르러 여러 문제점을 넘어 한국건축이 발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명확한 대안을 제시한다.
- 프롤로그
Ⅰ. 건축이란 무엇인가?
1. 건축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
한국에서 건축사로 살아가기
한국에서 건축은 과연 전문 영역인가
2. 서구에서 발전해온 건축의 의미
서구의 건축 개념이 걸어온 길
서구건축의 본질
현대건축의 현주소
3. 한국에 건축은 있었는가?
전통건축에 담긴 사상
한국 전통건축에 이론이 없는 이유
4. 건축이란 무엇인가?
디자인과 건설에 관한 학문과 실무
융합적 학문과 실무로서의 건축
건축은 예술인가, 과학인가, 기술인가
건축과 엔지니어링
5. 건축가의 새로운 정체성
건축가는 기술자인가, 예술가인가
건축가의 새로운 역할상, 코디네이터
6. 한국건축 개념의 오염된 뿌리
공학기술로 자리 잡은 한국의 건축
건축 개념의 혼란상
7. 식민지 문화와 파편화된 건축
전문성은 없고 영역만 있다
공중분해 중인 한국건축
건축의 파편화는 왜 문제인가
디자인과 학문의 파편화
8. 건축 한류는 과연 가능할까?
Ⅱ. 한국에 건축은 없다
1. 건설이 건축을 대체하다
건설의 문화, 재개발의 문화
턴키 프로젝트와 건설의 지배
따로 노는 친환경 건축과 기술
2. 국가 제도에서 건축이 차지하는 위상
국가계약법에 건축은 없다
일은 건축사로, 보수는 엔지니어로
초대받지 못한 설계자
건축가의 위상과 건축주
한국 건축가는 왜 용산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못했을까?
설계와 감리의 분리
3. 학문으로서 건축의 부재
학문분류체계로 본 건축의 위상
애물단지가 된 건축학과
건축 도서관
4. 행정 조직과 법에서 건축의 부재
건축 공무원과 각종 위원회
건축기본법,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그리고 AURI
모호해진 건축서비스 산업
5. 아키텍트는 건축사인가, 건축가인가?
대서사에서 건축사로
전문직의 조건, 지식의 체계화
비즈니스와 정치만 존재하는 현실
한국의 건축계가 통합되지 못하는 이유
6. 공공적 서비스로서 건축의 부재
공공 조직에서 사적 시장으로
건축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
7. 전문직과 건축교육
건축의 전문성은 교육을 통해 확대 재생산된다
건축학교육과 건축교육
스튜디오와 아틀리에, 설계 동아리
건축교육과 실무의 관계
8. 한국건축학의 실증주의
계획과 설계의 혼동
이론과 역사학의 실증주의 경향
한국의 인문학적 건축
Ⅲ. 한국에 건축은 있다
1. 건축은 공동체 규범이다.
집에 관한 새로운 담론
한국 근대성의 특징
공동체 규범의 부재와 ?닥치고’ 건설
한국의 도시 개발에는 철학이 없다
2. 한국건축에 뿌리내린 개인주의
한국건축의 유일한 미적 가치
개인주의는 건축을 신비화한다
형식주의의 허구성
3. 한국건축의 상업주의
건축 저널리즘과 대중매체
러브 하우스가 만들어낸 허상
건축학개론과 마천루
한국건축의 스타 시스템
건축가의 명성
한국건축에 필요한 것
4. 공공건축의 규범 만들기
공공건축과 공공 공간
공공건축의 규범과 공론장
한국 공공건축의 규범
건축 디자인의 주제화
공공건축의 윤리성
서울시청사를 위한 변명
5. 산업으로서의 건축
대형 설계사무소의 기원과 성격
작가와 작품집
턴키-텍처의 한계와 가능성
6. 한옥의 산업화 다르게 보기
개량한옥은 왜 사라졌을까?
한옥의 부활에 담긴 의미
건축의 산업화 vs. 한옥의 산업화
현대한옥 또는 한옥의 현대화
7. 건축의 이론화
한국 전통의 이론화
새로운 건축의 개념
한국건축의 새로운 미학
기술이 창조하는 새로운 현대건축의 전형
한국건축의 새로운 타이폴로지
- 에필로그
- 찾아보기
- 도판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