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을 뒤바꾼 아이디어 100
시간이 되는대로 리뷰를 올릴 예정입니다.
건축을 아이디어를 통해 이해하다!
1995년 Sir Banister Fletcher Prize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은, 영국 태생의 뛰어난 조경건축가 리차드 웨스턴의 『건축을 뒤바꾼 아이디어 100』.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선정한 건축과 관련된 100가지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있다. 대략적으로 연대순으로 정리했다. 오랜 시간을 통해 전개된 건축에 대한 인간의 아이디어를 풍부하게 가르쳐준다. 세계 최고의 건축가의 업적도 흥미롭게 만나볼 수 있다.
한 아이디어당 1쪽에서 2쪽으로 건축의 방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축약하면서 구조, 사회, 공간, 표현, 개념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해나가도록 꾸몄다. 건축 비전공자가 접근하기에는 어렵고 복잡한 건축 분야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한다. 우리나라에서 건축설계이론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김광현과 그가 이끄는 서울대학교 건축의장연구실에서 문법적으로 거부감이 없이 쉽게 접근하도록 번역하고 추천했다.
저자 : 리차드 웨스턴
저자 리차드 웨스턴(Richard Weston)은 1995년 Sir Banister Fletcher Prize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기도 한, 뛰어난 조경건축가이자 작가이다. 그는 영국 웨일스 카디프에 위치한 연구 중심의 명문 공립대학, 카디프 대학교(Cardiff University)의 건축학과장이며 ㈜리차드 웨스턴 스튜디오, ㈜Earth Images의 이사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20세기의 집(2001)>, <재료, 양식 그리고 건축(2003)>, <20세기의 주요 건물(제2판/2010)>이 있다.
역자 : 김광현
역자 김광현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공부했고, 동경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대한건축학회 부회장, 한국건축학교육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한국건축가협회상(건축문화사옥), 대한건축학회상, 카톨릭 미술상 본상(성바오로딸 수도회 사도모후의 집), 한국건축가협회상(천호부활성당)을 수상하였으며, 2008년에는 <시사저널>이 조사한 건축부문의 ‘가장 존경 받는 인물’로 선정된 바 있다. 2012년에는 서울대학교 ‘훌륭한 공대 교수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한국의 주택-토지에 새겨진 주거(1991, 마루젠)>, <디자인 사전(1994)>, <현대사회와 과학문명(1997)>, <하이트렌드(2009)>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루이스 칸:학생들과의 대화(2001)>, <건축의장강의(2008)>, <건축형태의 원리(1989)> 등이 있다.
역자 : 서울대 건축의장연구실
역자 서울대 건축의장연구실은 김승범, 정혜진, 권현아, 김현아, 박미예, 이윤서, 박연정, 남지현, 김태훈, 정효주, 백선경, 정혜미, 박소람, 이지은, 박선영, 안종훈, 홍정희, 유아람.
No.1 FIREPLACE 벽난로
No.2 FLOOR 바닥
No.3 WALL 벽
No.4 COLUMN AND BEAM 기둥과 보
No.5 DOOR 문
No.6 WINDOW 창문
No.7 BRICK 벽돌
No.8 STAIRCASE 계단
No.9 CLASSICAL ORDERS 고전건축의 오더
No.10 ARCH 아치
No.11 VAULT 볼트
No.12 DOME 돔
No.13 ARCADE 아케이드
No.14 COURTYARD 중정
No.15 ATRIUM 아트리움
No.16 PLATFORM 단
No.17 BASILICA 바실리카
No.18 HUMANISM 인본주의
No.19 PROPORTION 비례
No.20 FORM 형태
No.21 ORNAMENT 장식
No.22 IDEAL 이상
No.23 MODULE 모듈
No.24 GRID 격자
No.25 SYMMETRY 대칭
No.26 COMMODITY, FIRMNESS AND DELIGHT 유용함, 견고함, 그리고 기쁨
No.27 PARTICULARITY 특이성
No.28 ARCHITECT 건축가
No.29 ORTHOGRAPHIC PROJECTION 정투영법
No.30 PERSPECTIVE PROJECTION 투시도법
No.31 COMPOSITION 구성
No.32 UTOPIA 유토피아
No.33 STYLE 양식
No.34 PALLADIANISM 팔라디오주의
No.35 CORRIDOR 복도
No.36 UTOPIA 유토피아
No.37 GENIUS LOCI 땅의 혼
No.38 SCENOGRAPHY 배경화법
No.39 PICTURESQUE 픽처레스크
No.40 GOTHIC REVIVAL 고딕부흥양식
No.41 BEAUX-ARTS 보자르
No.42 IRON 철
No.43 STEEL 강철
No.44 GLASS 유리
No.45 ROOF LIGHTING 지붕채광
No.46 STRUCTURAL FRAME 구조재
No.47 CENTRAL HEATING 중앙난방
No.48 ELECTRIC LIGHTING 전기 조명
No.49 THE LIFT 엘리베이터
No.50 REINFORCED CONCRETE 철근 콘크리트
No.51 ART OF BUILDING 건축술
No.52 TECTONIC FORM 구축적 형태
No.53 POLYCHROMY 색채주의/색채장식
No.54 CONSERVATION 보존
No.55 EMPATHY 감정이입
No.56 AIR CONDITIONING 에어컨
No.57 FORM FOLLOWS FUNCTION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No.58 ZEITGEIST 시대정신
No.59 SPACE 공간
No.60 MODERNITY 근대성
No.61 IN THE NATURE OF MATERIALS 재료의 본성에 맞게
No.62 CLADDING 피복
No.63 ORGANIC ARCHITECTURE 유기적 건축
No.64 ORNAMENT IS CRIME 장식은 최악이다
No.65 FREE PLAN 자유로운 평면
No.66 ARCHITECTURAL PROMENADE 건축적 산책로
No.67 FIVE POINTS OF A NEW ARCHITECTURE 새로운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
No.68 ABSTRACTION 추상
No.69 TRANSPARENCY 투명성
No.70 AXONOMETRIC PROJECTION 축측 투영법
No.71 COLLAGE 콜라주
No.72 LATERING 중첩
No.73 INTERNATIONAL STYLE 국제주의 양식
No.74 LESS IS MORE 적을수록 많아진다
No.75 REGIONALISM 지역주의
No.76 FLEXIBILITY 가변성
No.77 BETON BRUT 노출 콘크리트(베통 브뤼)
No.78 MORPHOLOGY 형태학
No.79 ADDITIVE COMPOSITION 부가적 구성
No.80 SERVANT AND SERVED SPACES 지원하는 공간과 자원받는 공간
No.81 POSTMODERNISM 포스트 모더니즘
No.82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복합성과 대립성
No.83 SHED 창고
No.84 TYPE 유형
No.85 CONTEXT 맥락
No.86 PLACE 장소
No.87 PHENOMENOLOGY 현상학
No.88 SKIN 외피
No.89 COMPUTER-AIDED DESIGN 컴퓨터 이용 설계
No.90 RAINSCREEN CLADDING 비막이 피복
No.91 COMMUNITY ARCHITECTURE 공동체 건축
No.92 UNIVERSAL DESIGN 유니버설 디자인/ 보편적 설계
No.93 DESIGN AND BUILD 설계 시공
No.94 PASSIVE DESIGN 자연순응형 디자인
No.95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No.96 DECONSTRUCTION 해체
No.97 BEGNESS 거대함
No.98 FOLD 주름/ 접힘
No.99 PARAMETRIC DESIGN 파라메트릭 디자인
No.100 EVERYDAY 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