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acaphilo.or.kr/xe/lecture_2_2/1267166
<철학아카데미 건축강좌 - 2012년 여름학기>
● 강좌명 : 번역으로 본 건축이론
● 담당교수: 현미정/ 조순익/ 임태희/ 우영선/ 김선아/ 이경창
● 강의시간: 7월 5일~8월 16일 매주 목요일 저녁 7시~9시
● 개강일: 2011년 7월 5일(목)
● 수강료: 일반 110,000원/ 학생 88,000원
● 강의개요 :
자생적인 사유가 허약한 건축이론 분야에서 번역은 진출하는 방향이 아니라 수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번역’이라는 말에 1차적으로 개입하는 의미는 <한국어에서 외국어로>가 아니라, <외국어에서 한국어로> 진행되는 일방향성이다. 하지만 번역의 과정에서 형성된 원문과 번역 사이의 긴장관계는 오히려 쌍방향적이며, 번역을 통한 지적 단련은 텍스트를 넘어서 꿈틀대는 강렬한 언어로 확장되고 심화된다. 이번 강좌에서는 건축이론 분야의 비중있는 저서들을 번역한 젊은 연구자들이 원문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문장 하나하나 엄밀하게 부딪치면서 형성되었을 내면적 역량을 확인해 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 강의내용 :
▶ 1강 (7월 5일) 존 러스킨의 <건축의 일곱 등불> - 현미정 (현도시건축 대표)
▶ 2강 (7월 12일) 마이클 헤이스의 <건축의 욕망> - 조순익 (전문번역가)
▶ 3강 (7월 19일) 쿠마 켄고의 <자연스러운 건축> - 임태희 (임태희 디자인 스튜디오 대표)
▶ 4강 (7월 26일) 파울로 솔레리의 <파울로 솔레리와 미래 도시> - 우영선 (전문번역가)
▶ 5강 (8월 9일) 프랑코 푸리니의 <건축 구성하기> - 김선아 (studio SAK inc.대표)
▶ 6강 (8월 16일) 힐데 하이넨의 <건축과 현대성> - 이경창 (명지대 강사)
● 참고문헌 :
? 존 러스킨, 건축의 일곱 등불 (현미정 옮김, 마로니에북스, 2012)
? 마이클 헤이스, 건축의 욕망-레이트 아방가르드 읽기 (조순익 옮김, 스페이스타임, 2011)
? 쿠마 켄고, 자연스러운 건축 (임태희 옮김, 안그라픽스, 2010)
? 파울로 솔레리, 파울로 솔레리와 미래 도시-생태와 건축의 만남, 아르코산티 (이윤하, 우영선 옮김, 르네상스, 2004)
? 프랑코 푸리니, 건축 구성하기 (김은정 옮김, 김선아 감수, 공간사, 2005)
? 힐데 하이넨, 건축과 현대성 (이경창, 김동현 옮김, 스페이스타임, 2008)
● 담당교수 소개 :
▶ 현미정 : 동국대학교 독문학을 전공하였고, 독일 베를린에서 건축을 수학하였다. 현재 「현도시건축」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른 번역서로 아돌프 로스의 『장식과 범죄』가 있다.
▶ 조순익 : 연세대학교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건축 및 디자인, 문화예술 관련 번역을 주로 해왔으며, 다른 번역서로 『건축과 내러티브』, 『디자인과 건축에서의 디지털 제조』 『건축에서의 생체-구조적 유비』, 『건축에서의 편심구조』 등이 있다. 온라인에서는 '아트소닉'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고 있다.
▶ 임태희 : 교토대학에서 건축학 연구생 과정을 거친 후, 귀국하여 6년간 실무 경험을 쌓았다. 그 후 재차 교토공예섬유대학에서 건축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간차를 두는 두 번의 일본 유학 경험은 일본에 대한 객관적이고 밀도 높은 시각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는 디자이너로 활동하면서 홍익대 등에 출강하고 있다. 다른 번역서로 쿠마 켄코의 『약한 건축』 등이 있다.
▶ 우영선 :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루이스 칸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과기대 등에서 건축 비평과 서양 건축사를 강의했으며 다른 번역서로는 『세계 건축의 이해』 등이 있다. 현재 문학과 영화에서 다루어진 건축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김선아 : 한양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건원국제건축, 아도무 건축 등에서 실무 경력을 쌓았다. 2000년 베네치아 건축대학을 졸업하고, 이탈리아 건축사를 취득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서 초빙 부 연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02년부터 studio SAK inc.을 운영하고 있다. 2008년 로마대학의 발레쥴리아 건축대학에서 ‘서울의 도시정체성“에 관한 연구로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이경창 : 1998년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 후, 2002년 명지대학교 건축공학과 역사 및 이론전공 석사. 2010년 동대학 박사. 현재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다른 번역서로 브라이언 엘리엇의 『건축과 철학 05 발터 벤야민』이 있다.
● 기타 :
1. 철학아카데미의 위치는 통의동(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입니다.
2. 자세한 내용은 철학아카데미 홈페이지 참조하세요.
● 강좌명 : 번역으로 본 건축이론
● 담당교수: 현미정/ 조순익/ 임태희/ 우영선/ 김선아/ 이경창
● 강의시간: 7월 5일~8월 16일 매주 목요일 저녁 7시~9시
● 개강일: 2011년 7월 5일(목)
● 수강료: 일반 110,000원/ 학생 88,000원
● 강의개요 :
자생적인 사유가 허약한 건축이론 분야에서 번역은 진출하는 방향이 아니라 수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번역’이라는 말에 1차적으로 개입하는 의미는 <한국어에서 외국어로>가 아니라, <외국어에서 한국어로> 진행되는 일방향성이다. 하지만 번역의 과정에서 형성된 원문과 번역 사이의 긴장관계는 오히려 쌍방향적이며, 번역을 통한 지적 단련은 텍스트를 넘어서 꿈틀대는 강렬한 언어로 확장되고 심화된다. 이번 강좌에서는 건축이론 분야의 비중있는 저서들을 번역한 젊은 연구자들이 원문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문장 하나하나 엄밀하게 부딪치면서 형성되었을 내면적 역량을 확인해 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 강의내용 :
▶ 1강 (7월 5일) 존 러스킨의 <건축의 일곱 등불> - 현미정 (현도시건축 대표)
▶ 2강 (7월 12일) 마이클 헤이스의 <건축의 욕망> - 조순익 (전문번역가)
▶ 3강 (7월 19일) 쿠마 켄고의 <자연스러운 건축> - 임태희 (임태희 디자인 스튜디오 대표)
▶ 4강 (7월 26일) 파울로 솔레리의 <파울로 솔레리와 미래 도시> - 우영선 (전문번역가)
▶ 5강 (8월 9일) 프랑코 푸리니의 <건축 구성하기> - 김선아 (studio SAK inc.대표)
▶ 6강 (8월 16일) 힐데 하이넨의 <건축과 현대성> - 이경창 (명지대 강사)
● 참고문헌 :
? 존 러스킨, 건축의 일곱 등불 (현미정 옮김, 마로니에북스, 2012)
? 마이클 헤이스, 건축의 욕망-레이트 아방가르드 읽기 (조순익 옮김, 스페이스타임, 2011)
? 쿠마 켄고, 자연스러운 건축 (임태희 옮김, 안그라픽스, 2010)
? 파울로 솔레리, 파울로 솔레리와 미래 도시-생태와 건축의 만남, 아르코산티 (이윤하, 우영선 옮김, 르네상스, 2004)
? 프랑코 푸리니, 건축 구성하기 (김은정 옮김, 김선아 감수, 공간사, 2005)
? 힐데 하이넨, 건축과 현대성 (이경창, 김동현 옮김, 스페이스타임, 2008)
● 담당교수 소개 :
▶ 현미정 : 동국대학교 독문학을 전공하였고, 독일 베를린에서 건축을 수학하였다. 현재 「현도시건축」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른 번역서로 아돌프 로스의 『장식과 범죄』가 있다.
▶ 조순익 : 연세대학교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건축 및 디자인, 문화예술 관련 번역을 주로 해왔으며, 다른 번역서로 『건축과 내러티브』, 『디자인과 건축에서의 디지털 제조』 『건축에서의 생체-구조적 유비』, 『건축에서의 편심구조』 등이 있다. 온라인에서는 '아트소닉'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고 있다.
▶ 임태희 : 교토대학에서 건축학 연구생 과정을 거친 후, 귀국하여 6년간 실무 경험을 쌓았다. 그 후 재차 교토공예섬유대학에서 건축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간차를 두는 두 번의 일본 유학 경험은 일본에 대한 객관적이고 밀도 높은 시각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는 디자이너로 활동하면서 홍익대 등에 출강하고 있다. 다른 번역서로 쿠마 켄코의 『약한 건축』 등이 있다.
▶ 우영선 :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루이스 칸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과기대 등에서 건축 비평과 서양 건축사를 강의했으며 다른 번역서로는 『세계 건축의 이해』 등이 있다. 현재 문학과 영화에서 다루어진 건축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김선아 : 한양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건원국제건축, 아도무 건축 등에서 실무 경력을 쌓았다. 2000년 베네치아 건축대학을 졸업하고, 이탈리아 건축사를 취득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서 초빙 부 연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02년부터 studio SAK inc.을 운영하고 있다. 2008년 로마대학의 발레쥴리아 건축대학에서 ‘서울의 도시정체성“에 관한 연구로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이경창 : 1998년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 후, 2002년 명지대학교 건축공학과 역사 및 이론전공 석사. 2010년 동대학 박사. 현재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다른 번역서로 브라이언 엘리엇의 『건축과 철학 05 발터 벤야민』이 있다.
● 기타 :
1. 철학아카데미의 위치는 통의동(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입니다.
2. 자세한 내용은 철학아카데미 홈페이지
'# Fun Architecture > fun exhibi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일기 : 정기용 건축아카이브 :: 국립현대미술관 (0) | 2013.02.28 |
---|---|
이가최가 드로잉전 (0) | 2012.12.04 |
MVRDV 垂直村落(The Vertical village) 전시회 (0) | 2012.06.20 |
2012 한국건축설계교수회 창립 10주년 기념 초대작가 전시 (0) | 2012.05.08 |
노무현 대통령 서거 3주기 추모전시회 “노무현이 꿈꾼 나라” (0) | 201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