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un Architecture/fun news

"한국, 이대로 가다간…" 우울한 현실

고령화의 그늘… 1인 가구 가장 많아졌다
통계청, 2010~2035년 추계
독신·만혼 늘고 수명 길어져 올 25.3%서 2035년 34%로
75세 이상 1인가구 급증 추세 2035년 4배 늘어 210만 가구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비중이 올해 4가구 중 1가구에 달해 2인 가구를 제치고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잡는다. 특히 75세 이상 노인 1인 가구는 지난 201048만가구에서 2035년에는 210만가구로 4배 넘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26일 내놓은 '2010~2035년 장래가구추계' 자료를 보면 1인 가구 비중은 201023.9%2인 가구(24.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그러다 올해에는 25.3%2인 가구(25.2%)를 웃돌 것으로 예측된다. 1인 가구 비중은 오는 2035년에도 34.3%로 가장 많은 가구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그동안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구 형태였던 4인 가구 비중은 계속 줄어들 것으로 집계됐다. 201022.5%3인 가구보다는 높았지만 2035년이면 9.8%에 그쳐 12인 가구는 물론 3인 가구(19.4%)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1인 가구가 급증한 것은 젊은 층의 결혼기피와 만혼이 늘었고 기대수명이 길어지면서 독거노인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65세 이상 연령층의 1인 가구 증가는 연평균 95,000가구로 전체 1인 가구 증가의 68.3%를 차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가구유형별로 보면 부부 가구는 201015.4%에서 203522.7%7.3%포인트 늘어난다. 20351인 가구 비중이 34.3%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 가구 중 절반 이상이 독신이거나 자녀 없이 부부만 사는 가구 형태가 되는 셈이다. 70대 부부 가구는 2010549,000가구(20.6%)에서 2035년에는 1668,000가구(33.0%)로 연평균 45,000가구씩 증가한다. 이는 전체 부부 가구 변화의 46.9%를 차지한다. 수명이 길어지면서 자녀를 출가시키고 부부만 사는 경우가 많아지는 것이다.

 

이혼이나 사별주말부부직업 등에 의한 분리 가구가 늘면서 한 부모와 자녀로 이뤄진 가구 비중은 20109.2%(1595,000가구)에서 20359.7%(2165,000가구)0.5%포인트 증가한다. 반면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201037%에서 2035년에는 20.3%로 줄어든다.

 

이처럼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3인 이상 가구 비중은 줄고 1인 및 2인 가구 비중이 늘면서 평균 가구원 수는 20102.71명에서 20352.17명으로 감소한다.

 

고령화 탓에 65세 이상 가구는 20103087,000가구에서 20359025,000가구로 2.9, 75세 이상 가구는 3.8배 늘어난다. 75세 이상 가구 중 1인 가구는 2010484,000가구(45.1%)에서 20352105,000가구(51.4%)4.3배 증가한다.

 

75세 이상 독거노인 가구 수의 비중은 2006년 초고령사회(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20%)에 진입한 일본보다 높은 수준이다. 75세 이상 노인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율은 201045.1%, 203551.4%. 일본은 2010년에 35.6%였고 2030년은 38.6%.

 

서운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고령층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일본보다 우리나라가 높다"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의 그늘이 가구 추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 서울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