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un Architecture/fun competition

2015 정림학생건축상 <다공성 무지개떡 도시>

 

 

 

2015 정림학생건축상 <다공성 무지개떡 도시>
Junglim Architecture Awards for Student 2015 Porous Rainbow-Cake City

http://www.junglimaward.com/ 



+주제설명
정림학생건축상은 다양한 분야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새로운 시대에 새롭게 제기되는 문제들에 협력을 통한 건축적 해결을 중시합니다. 오는 2015 정림학생건축상은 도시의 근간을 이루는 ‘밀도’와 ‘복합’에 초점을 맞추어 <다공성 무지개떡 도시 Porous Rainbow-Cake City>를 주제로 삼았습니다.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고층-고밀도’ 아파트는 지역과의 단절, 높은 기계 의존도, 단지 밖을 벗어나는 긴 그림자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저층-고밀도’ 주거형태는 복잡한 도시 상황을 보다 쾌적하고 여유로운 삶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건물의 전 층이 단일 용도로 구성되는 것을 소위 ‘시루떡’에 비유한다면, 층별로 용도가 달라지는 경우는 ‘무지개떡’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복합용도의 건축물은 직장과 주거 간의 근접성을 높이고 건물과 길의 관계를 긴밀하게 만들 수 있는 잠재성이 있습니다. 이는 단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닌 전세계의 어반디자인이 고민하는 것으로, 2015 정림학생건축상은 국제공모전을 통해 문화적 배경은 다르지만 동시대가 공통적으로 겪는 도시 문제를 건축을 비롯한 다양한 학제간 교류로 해결하길 기대합니다.


다공성(Porosity)
건축물에서 다공성과 관계 있는 부분은 필로티, 발코니, 테라스, 옥상정원 등으로, 외부이되 지붕으로 덮인 부분을 의미한다. 건축물은 이들의 위치에 따라 내부와 외부의 경계, 혹은 사유영역과 공공영역의 경계를 갖는다. 따라서 풍성한 다공성을 확보한 건축물은 그렇지 않은 건축물에 비해 채광 및 환기, 동선, 사용 행태 등에서 더 높은 개방성과 자유도를 확보한다. 이것은 상당한 밀도를 필요로 하는 도시를 보다 쾌적하고 여유롭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


무지개떡(Rainbow-Cake)
전체가 단일 용도인 건축물을 ‘시루떡’이라 한다면 층별로 다른 용도로 구성된 건축물은 ‘무지개떡’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복합용도의 건축물은 직주근접의 가능성을 높이고 도시 내 이동 거리를 단축하며 거시적으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인다.


개성(開城, Open Fortress)
대상지는 개성 남대문 동남쪽 일대이다. 현실적으로 방문이 불가능한 지역이라는 것은 대부분의 국내외 참가자 모두에게 공평한 조건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개성은 ‘완벽한 가상대지’와 ‘구체적인 현실적 대지’라는 양극단의 중간 개념이다. 즉 참가자가 개성을 현지 답사하거나 개성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할 것을 기대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번 기회를 통해 개성에 관심을 갖게 되기를 바랄 뿐이며, 이것이 이번 프로젝트에 현실적 긴장감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참가자가 유념해야 할 대상지의 조건은 도로, 물길, 주변의 한옥밀집 지역, 방위, 인근 지형, 개성 남대문이라는 역사유적 등이다. 개성 남대문을 직접 답사할 수 있도록 포토아일랜드(photo island)로 변경한 것 또한 참고할 내용이다. 그 이외에는 참가자의 재량에 맡긴다.
단, 시대 상황은 '개성을 포함한 북한 지역에 전 세계인이 자유롭게 투자하고 방문하며 거주할 수 있는 시기'로 설정한다. 본 프로젝트는 그 어떤 정치적 의도도 갖고 있지 않다. 다만 한반도 최고의 역사도시 중 하나이며 그 흔적이 잘 보존된 개성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역사가 중첩된 다원적 상황에 대한 도시 건축적 사고실험을 할 수 있는 대상지로 삼으려 하는 것이다.



+설계조건
A. 다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건폐율 50%, 용적률 200%, 층수 5층이라는 조건을 제시한다. (사선제한과 일조권은 무시하며 최고높이는 20m 미만으로 한다.) 건폐율 50%라면 4층으로 용적률 200%를 달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다공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한 층을 추가하여 다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행 건축법과는 다르게 다공성 부분의 면적은 용적률 산정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한다. 도시가 필요로 하는 기본 밀도를 고층이 아닌 방식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B. 건축물은 기본적으로 주거 기능이 들어가는 것으로 보며, 기타 기능의 선정 및 구성의 비율은 참가자의 판단에 따른다. 필지별 계획이 아닌, 블록별 계획이므로 주차는 적절한 비율로 지하 및 지상에 배치하며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공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C. 대상지인 개성은 모두 15개의 블록으로 나누었다. 참가자는 이 중 한 개의 블록을 선택한다.



+참가방법
A. 심사는 온라인상의 활동을 주요 평가 요건으로 한다.
B. 대상지인 15개 블록 중 1개를 선정해 등록하는데, 특정 블록에 참가자가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한 블록당 선착순 20명으로 제한한다.
C. 참가를 희망하는 이들은 홈페이지에 참가신청을 완료하고( ~2015.1.4), 이후 정해진 인터넷 공간에 진행 중인 작업(컨셉, 입&#8226;단면 등)을 기간 내 총 3회에 걸쳐 등록해야 한다. 등록된 작업은 모든 참가자와 심사위원 모두 열람할 수 있으며 상호간의 질문, 제안, 의견 등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다. (주요일정 참고)
D. 공개심사 시에는 소정의 도판 및 모형을 준비하며 추후 공지하는 장소에 모여 발표 및 질의응답을 가진다. 심사위원은 공개심사에 오른 팀 중 온라인 활동과 공개심사의 점수를 합산하여 대상 5팀을 선정한다.
E. 건축뿐 아니라 인문, 사회, 경제, 순수미술, 디자인 등 다양한 전공 간의 협업을 권장한다.
F. 공식 언어는 한국어와 영어로 하되, 온라인에서는 이외의 어떠한 언어도 무방하다.



+참가자격
- 전공 불문한 국내외 대학 / 대학원 재학생 (휴학생, 입학 예정자 포함)
- 참가신청 당시 학생 신분 혹은 다음 학기 입학 예정자 (입학이 취소된 경우 수상 불가)
- 개인 혹은 팀 참가 모두 가능 (팀은 최대 3명)
* 참가자정보 수정은 신청마감일인 2015.1.4까지 가능하며, 이후에는 팀원 추가 및 교체 불가


+시상
대상 5팀: 각 상금 3,000,000원과 상장
입상 다수: 상장과 기념품



+참가신청
2014.10.10(금)~2015.1.4(일)
홈페이지 등록 및 참가비 납부 www.junglimaward.com
참가비: 60,000원 (환불 불가)
하나은행 162-910013-41704 예금주: 재단법인 정림건축문화재단



+주요일정
- 참가신청: 2014.10.10(금)~2015.1.4(일) 온라인 등록 및 참가비 납부
- 심사위원 주제설명회: 2014.11.29(토)
- 온라인 작업등록
1차: 2015.1.13(화)~1.15(목)
2차: 2015.2.3(화)~2015.2.5(목)
3차: 2015.2.24(화)~2015.2.26(목)
- 공개심사 진출자 발표: 2015.3.10(화)
- 공개심사 및 시상: 2015.3.28(토) 장소 추후 공지


* 모든 일정은 한국시간을 기준
* 공정한 심사를 위해 모든 참가자는 3차에 걸쳐 작업을 등록하며, 구체적인 방식은 주제설명회에서 발표
* 주요일정 변경 시 참가신청자 전체메일 및 홈페이지 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