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un Architecture/fun competition

2013 제10회 도코모모코리아 디자인공모전

 

 

제10회 도코모모코리아 디자인공모전 일정

공모전 일정

2013년 2월 7일(목) 공모전 공고

2월 18일(월) ~ 4월 15일 (월) 신청 접수

3월 1일(금) ~ 3월 8일(금) 1차 질의 응답

3월 23일(토) 공모전 워크숍 (청주대학교 예술대 음악관 콘서트홀)

4월 10일(수) ~ 4월 15일(월) 2차 질의 응답

5월 29일(수) 작품 접수

6월 1일(토) 심사

6월 3일(월) 심사결과 발표(홈페이지 공고)

6월 8일(토) 토론회 및 시상식

6월 8일(토) ~ 6월 12일(수) 1차 전시회(청주연초제조창)

9월 2차 전시회(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참여)

 

 


 

모더니즘의 동시대성

Contemporary Of Modernism

 

- 청주연초제조창의 문화적 재생

Cultural Conversion Of The Cheongju Old Cigarette Factory

 

공모전 취지 및 배경

 

대상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2201

옛 청주연초제조창

 

공모전 취지

국토의 중심 청주

 

청주는 물리적으로 국토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중소도시였다. 이와 같은 지리적 특성은 196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되어, 근래에 이르기까지 단지 '교육의 도시'로 위치를 지켜 왔다. 이 시기에 청주의 유일한 산업 시설이 '구 청주연초제조창'이었다. 인구 15만 명 도시에서 정규직원만 1,800 여명이 근무를 하고 있었다. 상당수가 이곳에 생활을 의존하였으며, 지역경제의 상징이었다.

 

시대의 변화

 

교통의 발달은 점차 청주를 수도권으로 편입시키고 있다. 철도교통에서 소외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고속도로 확충 등 자동차 교통의 발달에 따른 사회적 현상이다. 인접 청주국제공항과 함께 지방화의 요구에 따른 세종시가 인근에 완성되고 있다. 청주시는 인구 15만의 도시에서 65만 명 도시로 팽창하고 있으며, 청주,청원 통합과 함께 물리적으로도 도시 외연의 확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자립의 도시

 

기회는 흔하지 않다. 청주의 정체성 발굴을 통하여 도시의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호기라 할 수 있다. 산업사회에서는 소외되었으나, 문화의 시대에서는 사회를 선도하며 자립 경제를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청주 지역은 지역전통의 목공예,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인 직지공예, 철기문화의 상징인 철당간, 충북지역의 산성에서 볼 수 있는 석공술, 그리고 이들 각종 전통 공예물 등 수 많은 문화 유산이 잠재되어 있다. 이들 보유 문화를 살리며, 문화가 소비만이 아닌 경제적 자립과 삶의 질을 갖춘 자립 중소 도시로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이다.

 

생산적 문화시설

 

'구 청주연초제조창'은 폐기된 산업시설이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삶을 기다리고 있다. 근래 '구 청주연초제조창'의 상징성과 지역적 장소성에 대한 가치보존을 위한 많은 학술적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또한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와 국제건축디자인캠프 등 다양한 문화행사의 개최를 통한 향후 활용 방안이 모색되어 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 청주연초제조창'이 문화예술 및 교육복합공간으로 컨버젼(conversion, 용도변경) 되어야 한다는 시민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최근 청주연초제조창 남쪽 일부동이 국립현대미술관의 미술품 수장보존센터로 기능이 확정되었다. 이는 지역을 넘어 명실상부한 국가예술자산의 가치 보존 및 관리와 활용의 중심지로 부각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어 국가 문화 예술을 고양시키는 장소로서의 역할까지 맡게 되었다. '구 청주연초제조창'은 단순한 소비적 문화 시설을 넘어 문화의 생산과 함께 사람이 모이고 활동함으로써 경제적 타당성을 모색하는 공간으로의 변화 요구를 받고 있다. 창조적 계획에 의해 이러한 변화에 따른 대응의 가능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도시재생의 기제

 

'구 청주연초제조창'은 청주 발전의 중심이었으며, 또한 미래 발전에도 그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적 맥락에서 이 부지는 내덕 칠거리와 인접하고 있다. 이 칠거리는 3km 길이의 상당로에 의해 연결되는 남측의 석교 육거리와 함께 청주 원도심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원도심에는 청주읍 성곽이 있으며 정연한 남북 도로망과 무심천, 그리고 우암산을 포함하고 있다. 3층 이하 86%, 5층 이하 96%의 저층 건축물에 의한 도시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그 안에 청주연초제조창이 입지하고 있으며 인근 내덕 칠거리는 청주의 북측관문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도시 기능적으로 남측 석교 육거리는 생필품 거래를 위한 재래시장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북측의 내덕 칠거리는 문화예술 및 교육상품이 거래되는 문화시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 원도심 축상으로 보행자 중심의 접근체계가 조성되어야 하고, 도시 외곽지역으로부터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대중교통체계 정비가 요구되며, 광역권 차원의 연계 방안 또한 필요한 현황이다. '구 청주연초제조창'은 청주 도시의 재생과 변화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본 프로젝트는 지역 자치체인 청주시의 의지와 지역민의 기대가 함께하고 있다. ()청주연초제조창이라는 지역의 산업유산을 문화자산으로 재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중요한 시대적 과제임이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 시대의 변화에 따른 근대문화유산의 리모델링을 통해 지속가능한 생명력의 부여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문화적 시설로의 역할, 그리고 도시에 생명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기폭제의 역할 등의 단계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역사도시 청주의 원도심 내의 공예와 건축, 그리고 공공디자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21세기형 문화도시로의 발돋움 기회가 전개되기를 기대해 본다.

 


등록 및 접수
등록기간: 2013년 2월 18일– 4월 15일
방법: 도코모모코리아 홈페이지의 공모전 안내에 따른 온라인 접수만 가능
참가비: 1팀당 50,000원 (팀당 인원 3인으로 제한)
질의 및 응답: 질의 기간 내에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 (이메일, 전화는 불가)
작품접수: 2013년 5월 29일 (수요일) 10:00-18:00 (장소 : 청주대학교 예술대 신관 전시홀)
우편접수: 5월29일 이전까지 소인이 찍힌 작품만 접수
참가 자격: 역사·도시·문화와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심 있는 국내외 분
제공자료: 수치지도, 대상지 도면 등
(웹하드 www.webhard.co.kr ID: doco2010 / PW: 1234)

워크숍
등록신청기간 중에 계획되어 있는 워크숍은 응모자의 이해를 돕고 공모전의 취지에 대한
대화를 현장에서 나누는 기회로 준비된 것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심사위원의
주제 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것이다. 그러나 이 워크숍의 참가 여부는 권장 사항일
뿐 작품선정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워크숍 당일 행사 및 워크숍 프로그램은 별도공지예정.

제출 결과물
A0규격(가로:1,189mm 세로:841mm)패널 1장 (10mm 두께 우드보드에 부착, 패널배치형태 : 가로)
A4 1장에 정리한 한글·영문 작품설명서 각 6부씩 (홈페이지 양식 제공)
패널 전체내용 수록CD (파일형식 jpg, 해상도 300dpi, 이미지 실제크기 A4 이상)
접수증 (홈페이지 양식제공, 현장에서 접수번호를 받은 후 절취)
모형은 제출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패널에 모형사진 등을 넣을 수 있음.
입상작품은 도코모모 코리아 디자인공모전 도록 및 CD-ROM으로 편집•출간 예정
* 출품작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도록 및 CD-ROM의 사용권한은 도코모모 코리아에 있습니다.

 

http://www.docomomo-kore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