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un Interest/book

현대사회의 도시론 :: 조명래

 

이 책은 마르크스, 베버, 뒤르켐과 같은 사회이론가들이 사회를 바라다보는 관점에 의거해 도시사회의 다양한 국면들을 설명하면서 도시에 관한 사회(과)학적 이해를 높여보려는 의도로 집필되었다. 총 3부 14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1부는 도시와 사회학의 관계를 다룬다.

제2부는 다양한 사회이론에 입각해 시도되는 도시에 관한 논의들을 소개하고 있다. 제3부는 도시사회이론이란 자원을 가지고 서울이란 도시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설명해보는 장들을 담고 있다.

- 머리말

제1부. 도시와 사회학

제1장. 도시의 사회학

1. 도시사회학의 의의
2. 사회학에서 도시와 도시의 사회학

제2장. 도시의 생성구조와 미래

1. 도시의 생셩 역사
2. 도시의 기능과 구조
3. 도시의 변화와 미래

제2부. 사회이론과 도시

제3장. 고전이론가들의 도시론

1. 서론
2. 마르크스의 도시론: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구축되는 장으로서 도시
3. 베버의 도시론: 근대적인 인간관계와 합리성이 구현되는 장으로서 도시
4. 뒤르켐의 도시론: 기계적 연대에서 유기적 연대로 사회결속이 변환되는 장으로서 도시
5. 결론

제4장. 생태주의 도시론

1. 서론: 시카고학파와 도시생태학의 등장
2. 생태적 공동체로서 도시: 인간생태학과 도시론
3. 문화적 양식으로서 도시
4. 정리: 요점과 한국적 적용함의

제5장. 신베버주의 도시론

1. 신도시사회학의 등장과 도시관리주의
2. 렉스와 무어의 도시사회체제론: 도시체계, 주택접근과 투쟁
3. 팔의 관리주의 도시론
4. 손더스의 소비주의 도시론
5. 비판과 한계
6. 요약 및 적용함의

제6장. 신마르크스주의 도시론

1. 배경
2. 이데올로기로서 도시: 르페브르의 (도시)공간생산론
3. 노동력 재생산의 장으로서 도시: 카스텔의 집합적 소비론
4. 자본축적의 장으로서 도시: 하비의 건조환경론
5. 정치경제학적 도시론의 적용함의: 카스텔과 하비의 이론을 중심으로

제7장. 포스트모던 도시론

1. 머리말
2. 포스트모던 도래: 시대, 지식, 사회과학
3. 포스트모던 전망으로서 도시: 포스트모던 공간론
4. 포스트모던 현실로서의 도시: 포스트모던 도시의 경제의 문화
5. 포스트모던 실천으로서 도시: 포스트모던 도시의 주체, 계급, 정치
6. 포스트모던 도시론의 정식화와 한계
7. 맺음말: 한국의 포스트모던 도시사회론을 위해

제8장. 근대성과 도시

1. 서론
2. 근대성의 재조명
3. 근대성의 도시, 도시의 근대성
4. (탈)근대도시론
5. 한국의 근대성과 도시(론)
6. 맺음말: '인간주의 도시론‘을 위해

제9장. 탈산업도시의 구성과 미래

1. 문제제기
2. 탈산업도시론: 검토와 재인식
3. 탈산업도시의 구성
4. 서울의 탈산업화와 도시구성
5. 탈산업도시의 미래
6. 맺음말

제3부. 서울의 도시사회학

제10장. 지역으로서 서울

1. 사람이 사는 도시, 서울
2. 자연과 역사 속의 서울
3. 지방이 될 수 없는 서울: 수도로서 지역성의 형성
4. 근대화의 텃밭으로서 서울
5. 메트로폴리탄 서울의 일상과 문화
6. 지역으로서 서울의 미래: 서울의 광역화

제11장. 서울의 정치경제학적 연구방법론

1. 새로운 ‘서울 연구방법론’의 필요
2. ‘서울문제(the Seoul Question)’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지식론적 조건
3. 정치경제학적 도시연구방법론
4. 서울의 삶: 탈코드화된 주체, 공간의 소비, 생활세계의 분열
5. 서울의 새로운 도시성과 공간적 실천

제13장. 대도시 발전의 딜레마와 전망

1. 서론
2. 대도시의 새로운 현실: 전환기적 딜레마?
3. 발전주의 대도시 딜레마의 연원: 발전 패러다임간의 긴장
4. 탈근대(postmodern) 도시로서 서울의 조건
5. 대도시 관리의 새로운 접근과 과제
6. 맺음말: 열린 서울론을 위해

제14장. 진보적 도시담론의 위기

1. 담론, 지식, 권력
2. 도시의 담론, 도시담론의 주류
3. 진보적 도시담론의 등장과 전화
4. 진보적 도시담론의 지식론적 토대: 비판사회과학적 인식론
5. 진보적 도시담론의 실천성: 계급적 실천
6. 지배담론과 대항담론과 길항관계
7. 진보적 도시담론의 딜레마와 전망
8. 진보적 담론의 위기를 넘어서